당신에게 꽃을

[게임 기획 개요서] Recycle Life ~쓰레기 사후재판~ 본문

Game development

[게임 기획 개요서] Recycle Life ~쓰레기 사후재판~

이지안 2019. 6. 12. 20:26

2018년 휴학 중에 학과 친구들이랑 성남 인디게임 & 게이미피케이션 공모전에 참여를 했었는데,

그때 작성했었던 짧은 기획서입니다.

 

 

세 부 내 용

개요

게임명

리사이클라이프 ~쓰레기 사후재판~

개발 엔진

Unity

플랫폼

  PC Mobile Console VR AR Etc (                      )

   

  RPG MMORPG FPS Action Adventure  V Casual Sports

  Etc (                   )

게임 시점

  1인칭 시점 V 3인칭 시점

  Top View  Quarter View  V Side View

게임 등급

 V 전체이용가 □ 12세이용가 □ 15세이용가 □ 청소년이용불가 □ 시험용 공익목적

과금 모델

  무료 게임 V 유료 게임 [ 유료 다운로드 V 부분 유료화 ]

제품

현재 상태

 V 기획 알파테스트 베타테스트 □ 개발완료

     
   

기획의도

최근 사회적으로 플라스틱, 비닐류 등의 쓰레기 분리수거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폐기물 및 쓰레기는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적,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 그러나 각 쓰레기마다 분리수거 방법이 다 다르며, 개중 플라스틱 페트병 같은 경우에는 비닐 라벨과 PET 부분을 분리해서 배출해야 하는 등의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자료 출처 통계청 공식 블로그 https://m.blog.naver.com/hi_nso/221295891064,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이러한 일상생활에서 쉽게 알기 힘든 올바른 재활용 방법을 자라나는 10대 청소년들, 사회 초년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쓰레기를 종류에 따라 알맞은 방법으로 분리수거하고,이를 팔아 목표를 이루는 내용의 게임을 기획했다.

 

게임

콘셉트

플레이

콘셉트

-          리사이클 라이프는 쓰레기 저승세계의 말단 차사(저승사자)인 주인공이 차기 염라대왕이 되기 위해 지상의 버려진수명이 다한 쓰레기들을 수거하고, 이를 재판 – 분리수거 하여 명성을 쌓는 내용의 게임이다. 이러한 스토리는 불교의 ‘시왕 신앙’에서 차용하였다.

-          리사이클 라이프의 두 가지 메인 콘텐츠로는 쓰레기 던전과 쓰레기 재판이 존재하며, 연구소 개발, 차사 고용, 강화, 코스튬 등의 서브 콘텐츠가 존재한다.

-          쓰레기 던전: 도트 RPG 던전과 Bejeweled, 애니팡 등의 퍼즐게임 형식을 혼합한 콘텐츠. 쓰레기 던전은 대한민국 내 관광 명소를 배경으로 한다. 쓰레기 던전에 입장한 플레이어는 퍼즐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대한민국 관광 명소의 쓰레기를 모을 수 있다.

-          쓰레기 재판: papers please (제작사 Lucas Pope) 게임에서 착안한 방식의 콘텐츠. 던전에서 모아 온 쓰레기의 재활용 방법에 따라 유저가 쓰레기의 처분을 결정한다. 유저는 각각의 쓰레기에 대해 소각, 매립, 분해, 압축, 세척 등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쓰레기의 등급에 따라 같은 쓰레기를 여러 번 재판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그래픽

콘셉트

 다음과 같은 캐주얼 + 도트 방식의 그래픽 콘셉트를 지향한다.

-         3인칭 프런트 뷰(front view)

-         게임 내 UI에 해당하는 아이콘, 버튼 등은 캐주얼 스타일로 제작되며, 캐릭터와 배경은 도트 스타일로 제작한다.

-         아기자기하면서도 한국적인 미가 돋보이도록 제작한다.

사운드

콘셉트

-          사운드 이펙트: 물방울이 터지는 단아하고 청명한 느낌의 사운드 이펙트를 <쓰레기 던전>의 퍼즐, 장비 강화 등 콘텐츠에 삽입, <쓰레기 재판> 콘텐츠에는 실제 판사봉 사운드를 삽입하여 재미를 더함

-          BGM: 밝은 느낌, 청소하는 보람을 표현한 듯한 피아노 곡

UI/UX 콘셉트

↑메인 화면 UI/UX 계획

-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는 UI/UX를 지향한다.

-          캐주얼풍 UI로 다양한 연령대의 플레이어들에게 친근함을 준다.

-          세로 화면 구성으로 불필요한 터치 동선을 줄여 한 손으로 플레이 가능하게 제작한다.

게임 특징

 던전 RPG, 퍼즐, 경영 등 다양한 게임 방식과 장르를 혼합하여 자칫 공익적인 느낌으로 다가와 지루할 수 있는 게임의 주제를 다채로운 콘텐츠로 지루할 틈 없이 제공하는 것이 이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쓰레기 던전 내 퍼즐을 게임의 주요 콘텐츠로 어필하여 10~20대 학생 · 사회 초년생부터 30~40대 주부 플레이어까지 폭넓은 타겟층 유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채로운 콘텐츠에 유저들이 혼란스럽지 않도록, 누구나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직관적인 게임 방식과 UI/UX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나리오

<전체 줄거리>

21세기 현대 대한민국은 넘쳐나는 생활쓰레기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주요 관광지 길거리에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쓰레기는 회수와 분리수거 모두 쉽지 않아 거리를 어지럽히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승에서 수명을 다한 쓰레기들이 제 곳에서 안식을 찾지 못하고, 재활용 과정을 거쳐 다시 태어나지 못하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염라국의 왕 염라대왕은 특색을 내놓았다. 그것은 저승의 차사들을 시켜 이승의 쓰레기를 거두고, 이를 분리수거하여 쓰레기가 새롭게 태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2019, 현재 저승의 염라대왕은 노쇠하여 다음 염라대왕의 자리를 물려줄 차사를 찾고 있었다. 이 때, 저승의 말단 차사로 성실히 근무하던 주인공이 우연히 현 염라대왕의 눈에 띄게 된다. 염라대왕은 주인공을 후계로 삼고 싶다고 공표하지만, 염라국의 신하들은 성실함 · 평범함을 제외하면 별 볼일 없는 주인공이 다음 염라대왕이 되기에는 타당성이 없는 일이라며 반대한다.

 신하들의 반대 의견을 들은 염라대왕은 고민 끝에 스스로 지지도를 높여 염라대왕에 걸맞은 사람임을 보여라며 주인공에게 염라대왕이 되기 위한 시련을 내린다. 시련의 내용은 대한민국 유명 관광 명소의 쓰레기를 전부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이었다. 신하들도 주인공 스스로가 차기 염라대왕으로써 능력과 지도력을 증명한다면 이를 인정하겠다고 수긍했다.

 그리하여 저승 염라국의 평범한 차사였던 주인공은 이승과 저승을 오가며 쓰레기 수거와 분리, 재활용 일을 맡게 된다. 대한민국의 유명 관광 명소의 쓰레기들을 전부 재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주인공은 오늘도 쓰레기를 주우며 지지도를 높여 나간다.

<주요 등장인물>

l   주인공: 흔한 외모의 평범한 저승차사이다. 매우 성실하여 업무를 미루는 법이 없다.

l   염라대왕: 이승, 염라국, 신하들, 차사들, 심지어 버려진 쓰레기까지도 소중히 여기는 인자한 염라국의 왕이다. 다소 기분 파적 결정을 할 때가 있으며, 주인공을 차기 염라대왕으로 지목한 것도 단지 주인공의 인성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l   황고양이:노란색의 코리안 숏헤어 고양이이다. 주인공의 시련을 도와주며, 이승과 염라국을 오갈 수 있게 저승문을 열어준다. 게임 내 주인공의 핵심 조력자이다.

<용어 설명>

l   저승차사(차사): 염라국의 관리직이다. 저승사자와 유사한 업무를 하며 외형 또한 저승사자를 차용했다. 주로 이승에서 수명이 다한 물건이나 생물이 새롭게 환생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 이 게임에서는 이승 쓰레기의 수거와 재활용 업무를 맡고 있다.

l   염라국(저승): 저승세계이다. 대대로 염라대왕이 통치하는 왕정국이다. 현재는 염라대왕의 자비로 이승에서 넘쳐나는 쓰레기들을 대신 처리해주고 있다.

l   쓰레기 던전: 이승 대한민국의 관광명소이며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는 곳이다.

l   쓰레기 재판: 쓰레기 던전에서 수집해온 쓰레기를 재활용 방법에 따라 분리하는 과정이다.

l   저승문: 이승과 염라국을 오갈 수 있는 문이다. 황고양이만이 열 수 있다.

게임

구성

전체 게임

진행방식

대한 한국에 실제 존재하는 관광지 거리를 모티브로 한 <쓰레기 던전>에서 애니팡과 같은 퍼즐게임을 진행하여 길가에 버려진 쓰레기를 모은다. 이 콘텐츠에서는 주인공이 일정 레벨을 달성한 이후부터 <차사 고용센터>에서 차사를 고용하여 자동으로 던전을 진행할 수 있다.

<쓰레기 던전>에서 모은 쓰레기는 <쓰레기 재판>에서 분리수거 작업을 한다. <쓰레기 재판>을 진행하려면 재판하려는 쓰레기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게임진행 중 처음 보는 쓰레기 종류는 <연구소>에 위탁하여 쓰레기 처리 방법을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같은 종류에 대해 1회라도 연구를 마친 쓰레기는 <쓰레기 재판>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수거 & 폐기할 수 있다. 연구 방법대로 알맞게 쓰레기를 재판하면 게임 내 재화를 얻을 수 있다.

 주인공은 <연구소>, <쓰레기 던전>, <쓰레기 재판>을 진행할 때마다 소량의 지지도를 얻게 되며, 지지도가 100%가 될 때 마다 1 레벨을 성장하게 된다.

 (지지도는 현재 진행 중인 <쓰레기 던전>의 관광지 지지도이다. 다음 지역(스테이지)으로 넘어가려면 해당 지역의 지지도가 100%에 도달해야 한다.)

<쓰레기 던전>의 관광지(스테이지)를 해금할 때마다 메인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다.

미션 유형

<쓰레기 던전>에는 스테이지마다 약 40~1분 30초가량의 시간제한이 있으며, 시간 제한 내 퍼즐 득점 수에 비례하여 쓰레기를 획득 가능하다. 스테이지별로 얻을 수 있는 쓰레기의 종류는 상이하다.

스테이지는 해금 방식이며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다음 스테이지를 진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의 목표 점수 도달

       주인공이 스테이지 요구치 레벨 도달 (현재 플레이 중인 스테이지 해당 지역의 지지도 100% 달성과 동일)

<쓰레기 재판>은 클리어 조건이 없으며, 알맞은 분리수거 행동을 할 때마다 게임 재화가 제공된다.

<쓰레기 연구>에서 연구 슬롯에 쓰레기를 올리고 연구를 시작하면 쓰레기 등급에 따라 일정 시간 뒤 연구는 자동 완료되며,해당 쓰레기의 분류 방법과 주인공의 지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아이템

       창고: 주인공이 던전에서 수집해온 쓰레기를 아이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최대 공간에 한계가 있으며 메인 화면 주인공을 터치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확장할 수 있다.

       주인공 장비: 주인공이 던전에서 아무리 고득점을 하더라도, 주인공 장비 성능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쓰레기 양에는 한계가 있다. 창고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강화할 수 있다.

       차사 장비: 차사는 주인공이 던전 내 쓰레기 자동 수집을 위해 고용한 NPC로서, 차사의 장비를 강화하면 차사가 던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이 증가하며 던전 자동 수집 완료 시간이 감소한다.

       \(): 게임의 기본 화폐이며, 이승의 화폐이다. 차사를 고용하기 위해서는 염라국의 화폐인 엽전으로 환전해서 사용해야 한다.장비 강화나 연구소 설비 업그레이드의 경우 이승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승 화폐로 진행한다.

       엽전: 게임의 기본 화폐이며, 염라국의 화폐이다. 엽전으로 차사를 고용할 수 있다.

장비 등 세부 아이템과 기타 아이템은 내부 회의와 레벨링을 거쳐 추가 예정이다.

디자인

       캐릭터 디자인

-          주인공: 염라국의 흔하고 평범한 저승차사 설정에 따라 성별 구분이 없는 외모. 게임 시작 초기에는 기본 차사 복장을 갖추고 있으며, 유저가 재화를 벌어 코스튬을 꾸밀 수 있다.

-          차사(고용인): 기본 차사 복장을 하고 있으며 차사마다 미세한 외적 차이가 있다.

-          황고양이:평범한 코리안 숏헤어의 외형을 가졌다.

-          염라대왕: 늙고 인자한 외모이며, 게임 내에서는 항상 투명한 발 뒤에 실루엣만 비추는 신비한 이미지

       UI 디자인

-          메인 화면 상태 바: 주인공의 레벨, 지지도, 행동력, 소지금(\)이 표시.

-          메인 화면 UI: 캐릭터 메뉴, 쓰레기 던전, 쓰레기 재판, 연구소, 차사 고용센터, 시스템 메뉴 표시.

-          캐릭터 메뉴: 주인공 그림을 터치하면 진입할 수 있다. 창고 관리, 상점 메뉴, 코스튬 변경 등이 가능하다.

-          쓰레기 던전: 터치하면 저승과 이승을 오가는 효과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한국 관광 명소를 표현한 스테이지 맵이 뜨며, 스테이지를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ex-캔디 크러쉬 사가)캔디크러쉬사가)

-          쓰레기 던전 진행: 화면을 5 분할하여 상단 1/5은 캐릭터가 관광 명소를 돌며 쓰레기를 줍는 모션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고 나머지 4/5에 해당하는 하단에서 퍼즐 게임을 진행한다. 최상단에는 쓰레기 수집량(퍼즐 점수)과 퍼즐의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시간 내 일정 점수 도달 시 퍼즐 종료 후 ‘CLEAR!’가 뜬다. (ex-고스트 하우스)고스트하우스)

-          쓰레기 재판 진행: 창고에 보관해 뒀던 쓰레기가 스택 순으로 나오며 재판이 진행된다. 쓰레기에 대한 정보가 담긴 두루마리가 화면 중앙에 뜨며, 주인공이 연구를 통해 해당 쓰레기의 정보를 습득한 상태라면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에 관한 내용이 보인다. 그러나 습득하지 않은 상태라면 두루마리에는 ‘???’만 표시된다. 화면 하단에는 소각, 매립, 세척, 분리, 연구소 보내기 등등의 메뉴 버튼이 등장한다.

-          연구소: 연구소 메뉴를 터치하여 진입하면 연구소 관리, 주인공 장비 강화, 고용한 차사 장비 강화 메뉴가 있다. 연구소 관리 메뉴에서 남은 연구 슬롯을 확인 가능하다. 주인공 장비 강화를 누를 경우 장비의 모습이 뜨고 장비를 누를 경우 좌측에는 현재 장비 상태, 우측에는 강화 후 장비 상태가 표시된다. 하단에 강화하기 버튼이 존재하며 버튼 내에 강화에 필요한 재화가 나타난다. 차사 장비 강화도 마찬가지의 인터페이스를 띄며 좌우 화살표 스왑으로 장비 강화를 해줄 차사를 교체할 수 있다.

       배경 디자인

-          대한민국 서울의 관광명소를 도트 배경으로 표현한다.

 

       

↑참고자료 좌-캔디 크러쉬 사가,

추진일정

 

-          11월 성과발표회 이전까지 알파버전 완성 목표

-          정식 출시 192월 예정

-          텀블벅 펀딩 60일 진행 예정, 11월 이후 리워드 전달 목표

기타 사항

 실제 서울 주요 관광지 쓰레기통에 QR코드 태그를 부착하여 게임 내에서 이를 스캔하면 게임 보상이나 해당 관광지에 대한 외전 스토리를 제공하는 방식의 콘텐츠를 고려중이다.

 

본 저작물의 권리는 저와 세 명의 학과 친구들에게 있습니다 :)

Comments